ARCHE CLASS

모두 자유롭게 이동하는 세상으로: 한국 장애인권 운동의 맥락을 읽고, 실천적 연대 모색하기

일정 5.24 / 5.31 금 (2회차)
시간 19:00-21:00
강사 나야장애인인권교육센터 상임활동가 강희석(얼씨구!)
장소 온라인 (1회차) 

         오프라인 | 서울 종로구 동숭길 25 유리빌딩 (2회차)

대상 국내 장애인권 운동의 역사와 담론이 궁금한 사람
         이동권, 탈시설, 시민권 투쟁 등 다양한 현장의 실천적 연대 방법을 찾고 싶은 사람
         장애인권 활동에 관심이 있는 사람

정원 10명

참가비 아르케 멤버 20,000원
             일반 참가자 40,000원
             아젠다워커 및 활동가 25% 할인 30,000원


클래스 소개

현재 한국 장애인권 운동의 치열한 현장들 중, 이동권, 시민권 투쟁을 중심으로 한국 장애인권 운동의 역사를 톺아봅니다. 나아가 장애인권 투쟁의 의의와 이를 둘러싼 담론을 알아보고, 장애인권 투쟁에 함께하는 시민, 활동가들의 역할과 실천적 연대를 고민해 봅니다.


강사 소개

강희석(얼씨구!)
장애인권교육을 통해 장애의제를 시민들에게 알리고 장애인 당사자의 활동을 지원하고 있는 나야장애인권교육센터 상임활동가입니다. 


회차별 계획

 1회차 나는 누구? 여긴 어디? : 장애인권의 역사를 바탕으로 공간과 관계를 살피며 장애인권감수성 톺아보기

[장애 유형과 장애에 대한 사회적인 이해]

- 장애는 단순한 몸이나 정신의 손상으로 정의되는 것이 아니라, 이러한 손상을 차별적으로 대하는 제도, 인식, 물리적 조건 등으로부터 발생한다는 점을 이해

- 장애인을 차별하는 상황에 대한 예시를 통해 일상에서 일어나는 장애인 차별을 인식하고, 장애 감수성을 톺아보기

- 사진으로 보는 장애운동사 / 이동권, 노동권, 교육권을 쟁취하기 위해 지난 온 시간을 살피기             


2회차 함께 살아간다는 것은?: 장애운동의 진지인 대항로에 방문해 장애당사자와 함께 시민권 싸움에 대한 이야기 나누기

[사람책]

- 이수미의 자유로운 삶, 시설 밖으로!

 

[토론 주제]

- 시설에 살고 있는 장애인은 왜 가게 되었을까?

‘내가 시설에 들어갈 수도 있겠다’고 생각해 본 적이 있나요? 우리 모두가 시설에 가지 않기 위해서는 무엇이 필요할까?

- 정부는 시설에서 살았던 사람들에게 무엇에 대해 사과해야 할까요? 시설에서 살았던 사람들은 무엇을 사과받고 싶을까요?

-정부는 시설을 개선해서 작게 줄이고, 와상중증장애인이 24시간 지원 받을 수 있는 전문시설을 만든다고 발표했습니다. 이 정책은 장애인의 삶에 어떤 영향을 미칠까요?


문의

e-mail a-rche@kc-sc.kr
instagram @arche_official_kr


ARCHE CLASS

모두 자유롭게 이동하는 세상으로: 한국 장애인원 운동의 맥락을 읽고, 실천적 연대 모색하기

일정 5.24 / 5.31 (2회차)
시간 19:00-21:00

강사 나야장애인인권교육센터 상임활동가 강희석(얼씨구!)
장소 온라인(1회차)
오프라인 | 서울 종로구 동숭길 25 유리빌딩 (2회차)

대상
국내 장애인권 운동의 역사와 담론이 궁금한 사람
이동권, 탈시설, 시민권 투쟁 등 다양한 현장의 실천적 연대 방법을 찾고 싶은 사람
장애인권 활동에 관심이 있는 사람

정원 10명

참가비 
아르케 멤버 20,000원
일반 참여자 40,000원
아젠다워커 및 활동가 25% 할인(30,000원)


클래스 소개

현재 한국 장애인권 운동의 치열한 현장들 중, 이동권 시민권 투쟁을 중심으로 한국 장애인권 운동의 역사를 톺아봅니다. 나아가 장애인권 투쟁의 의의와 이를 둘러싼 담론을 알아보고, 장애인권 투쟁에 함께하는 시민, 활동가들의 역할과 실천적 연대를 고민해 봅니다. 


강사 소개

강희석(얼씨구!)
장애인권교육을 통해 장애의제를 시민들에게 알리고 장애인 당사자의 활동을 지원하고 있는 나야장애인권교육센터 상임활동가입니다.


회차별 계획

1회차 나는 누구? 여긴 어디? : 장애인권의 역사를 바탕으로 공간과 관계를 살피며 장애인권감수성 톺아보기

[장애 유형과 장애에 대한 사회적인 이해]

- 장애는 단순한 몸이나 정신의 손상으로 정의되는 것이 아니라, 이러한 손상을 차별적으로 대하는 제도, 인식, 물리적 조건 등으로부터 발생한다는 점을 이해

- 장애인을 차별하는 상황에 대한 예시를 통해 일상에서 일어나는 장애인 차별을 인식하고, 장애 감수성을 톺아보기

- 사진으로 보는 장애운동사 / 이동권, 노동권, 교육권을 쟁취하기 위해 지난 온 시간을 살피기             


2회차 함께 살아간다는 것은?: 장애운동의 진지인 대항로에 방문해 장애당사자와 함께 시민권 싸움에 대한 이야기 나누기

[사람책]

- 이수미의 자유로운 삶, 시설 밖으로!

 

[토론 주제]

- 시설에 살고 있는 장애인은 왜 가게 되었을까?

‘내가 시설에 들어갈 수도 있겠다’고 생각해 본 적이 있나요? 우리 모두가 시설에 가지 않기 위해서는 무엇이 필요할까?

- 정부는 시설에서 살았던 사람들에게 무엇에 대해 사과해야 할까요? 시설에서 살았던 사람들은 무엇을 사과받고 싶을까요?

-정부는 시설을 개선해서 작게 줄이고, 와상중증장애인이 24시간 지원 받을 수 있는 전문시설을 만든다고 발표했습니다. 이 정책은 장애인의 삶에 어떤 영향을 미칠까요?



문의

e-mail a-rche@kc-sc.kr

instagram @arche_official_kr

Copyright ⓒ 2023 아르케 All rights reserved


ARCHE

지식순환사회적협동조합 | 대표자 유정 
주소 서울시 금천구 시흥대로150길 69 

사업자 등록번호 401-82-11104
기획재정부 | 국세청 | 국민권익위원회  


Copyright ⓒ 2023 아르케 All rights reserved